본문 바로가기
정보 & TIP 모음/SEO 최적화

티스토리로 월 100만원 버는 방법을 알아보자 (초심자도 가능)

by INFORMNOTES 2025. 7. 5.
728x90

존경하는 블로그 독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디지털 노마드', '온라인 수익화'라는 단어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많은 분들이 부업으로, 혹은 본업으로 온라인에서 경제적 자유를 꿈꾸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티스토리 블로그'는 초기 자본 없이 누구나 시작할 수 있다는 엄청난 장점 때문에 꾸준히 사랑받는 플랫폼입니다.

하지만 막상 시작하려고 하면 "글만 쓰면 정말 돈이 벌릴까?", "어떻게 해야 월 100만 원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 하는 막막함이 앞서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 글은 바로 그런 분들을 위해 탄생했습니다. 막연한 희망이 아닌,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 계획'을 담았습니다. 단순히 "좋은 글을 쓰세요"라는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어떤 주제를 선택하고, 어떻게 글을 써야 하며, 수익은 어떤 방식으로 창출되고, 어떻게 그 수익을 극대화하여 '월 100만 원'이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지, 그 여정의 A to Z를 5만 자가 넘는 분량으로 상세하게 풀어낼 것입니다.

이 글은 단언컨대, 여러분이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화에 대해 궁금했던 거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완벽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 이 긴 글을 끝까지 읽고 실행에 옮길 인내심만 있다면, 여러분의 통장에도 매월 따뜻한 100만 원이 입금되는 기쁨을 누리실 수 있을 겁니다.

이 글을 반드시 읽어야 하는 분:

  • 티스토리 블로그로 월 100만 원의 부수입을 만들고 싶은 분
  • 블로그를 시작했지만 수익이 나지 않아 고민인 분
  • 수익형 블로그의 구체적인 운영 전략이 궁금한 분
  •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닌, 실질적이고 검증된 방법을 알고 싶은 분

자, 그럼 지금부터 티스토리로 월 100만 원을 버는 대장정을 함께 시작하겠습니다. 스크롤을 내리기 전에, 커피 한 잔 준비하시고 마음을 다잡으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인생을 바꿀 지식이 여기에 있습니다.


목차

Part 1. 마인드셋 : 월 100만 원 블로거의 생각법 1.1. 이것은 '사업'이다: 취미 블로그와의 결별 1.2. 시간이라는 농사: 조급함을 버려라 1.3. '나'를 버리고 '독자'를 얻어라: 콘텐츠의 주인은 누구인가? 1.4. 왜 티스토리인가? 네이버 블로그와의 결정적 차이

Part 2. 준비 단계 : 승패를 가르는 첫 단추 2.1. '황금알'을 낳는 주제(Niche) 선정 전략 - 돈이 되는 주제의 조건 (CPC, 수요, 경쟁 강도) - 추천 주제 카테고리 5가지 (금융/정부지원금, 건강, IT/테크, 자격증/교육, 생활정보) - 나만의 '킬러 주제'를 찾는 법 2.2.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및 필수 초기 설정 - 초대장 없이 가입하기 - 2차 도메인,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 (feat. SEO) -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스킨 선택 가이드 - 필수 플러그인 셋팅 (이것만은 꼭!)

Part 3. 콘텐츠 생산 : '돈이 되는 글'은 따로 있다 3.1. 황금 키워드 발굴: 모든 글의 시작점 - 키워드의 이해: 롱테일 키워드를 노려라 - 무료 키워드 분석 툴 활용법 (블랙키위, 키워드마스터 등) - 경쟁 강도 분석 및 '이기는' 키워드 선택법 3.2. 검색엔진최적화(SEO) 글쓰기의 모든 것 - 제목(Title) 작성 공식: 클릭을 유발하는 7가지 법칙 - 본문 작성 구조: 서론-본론-결론의 황금 비율 - 가독성을 높이는 비법 (소제목, 글머리 기호, 이미지 활용) - 내부 링크와 외부 링크: 내 블로그의 권위를 높여라 - 이미지 최적화 (ALT 태그의 중요성) 3.3. 저품질 블로그를 피하는 7가지 철칙 3.4. 꾸준한 포스팅을 위한 시간 관리 및 마인드 컨트롤

Part 4. 수익화 전략 : 구슬을 꿰어 보배로 만들기 4.1. 구글 애드센스: 수익의 핵심 엔진 - '애드고시'라 불리는 승인 과정, 한 번에 통과하는 비법 - 수익 극대화를 위한 광고 배치 전략 (자동 광고 vs 수동 광고) - CPC, CTR, RPM의 이해: 내 블로그 수익 분석하기 4.2. 쿠팡 파트너스: 또 다른 강력한 수익원 - 애드센스와의 시너지 효과 - 쿠팡 파트너스 가입 및 활용법 - 독자가 거부감 없이 클릭하게 만드는 콘텐츠 작성법 4.3. 기타 수익화 모델 (제휴 마케팅, 원고료 등)

Part 5. 분석 및 성장 : 데이터를 보고 방향을 정하라 5.1.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내 블로그의 건강 검진 - 등록 및 사이트맵, RSS 제출 - '실적' 리포트 분석: 기회 키워드 발굴하기 - '색인 생성 범위' 확인 및 오류 해결 5.2.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방문자의 모든 것을 파헤치다 - GA4 연동 및 기본 세팅 - 주요 지표 이해하기 (사용자, 세션, 이탈률, 평균 참여 시간) - 인기 페이지 분석을 통한 콘텐츠 전략 수정 5.3. 월 100만 원 달성을 위한 현실적인 로드맵 - 1~3개월 차: 기반 다지기 (수익 0~5만 원) - 4~6개월 차: 유의미한 데이터 발생 (수익 5~20만 원) - 7~12개월 차: 수익 성장 가속화 (수익 20~70만 원) - 1년 이후: 목표 달성 및 유지 (수익 70~100만 원+)

Part 6. 심화 전략 및 Q&A 6.1. 방문자 수를 폭발시키는 '이슈성 포스팅' 전략과 함정 6.2. 블로그 지수(Domain Authority)를 키우는 장기적 관점 6.3. 자주 묻는 질문 (FAQ) - 하루에 몇 개나 포스팅해야 하나요? - 글자 수는 얼마나 써야 하나요? - 다른 사람 글을 참고해도 되나요? - 갑자기 방문자 수가 떨어졌어요 (저품질?)

마치며 : 당신도 할 수 있다, 이제 시작할 시간


반응형
320x100

Part 1. 마인드셋 : 월 100만 원 블로거의 생각법

기술적인 부분을 논하기 전에, 가장 먼저 갖춰야 할 것은 바로 '마인드셋'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시작했다가 3개월을 채 넘기지 못하고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잘못된 마음가짐 때문입니다. 월 100만 원은 결코 쉽게 얻어지는 돈이 아닙니다.

1.1. 이것은 '사업'이다: 취미 블로그와의 결별

가장 먼저, 당신의 블로그를 '취미'가 아닌 '온라인 사업'으로 규정해야 합니다.

  • 취미 블로그: 내가 쓰고 싶을 때, 내가 쓰고 싶은 글을 쓴다. 일기장처럼 내 생각과 감정을 기록한다. 수익은 나면 좋고, 안 나도 그만이다.
  • 사업 블로그: 철저히 '고객(독자)'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시장(검색엔진)을 분석하고, 수익 모델을 구축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 명확한 수익 목표를 가지고 그에 맞는 시간과 노력을 투입한다.

당신이 오늘부터 운영할 티스토리 블로그는 후자여야 합니다. "오늘은 피곤하니까 쉴까?", "이건 별로 돈이 안 될 것 같은데 내가 쓰고 싶으니까 써야지"라는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사장님이 매일 가게 문을 열듯, 당신도 정해진 시간에 컴퓨터 앞에 앉아 '일'을 해야 합니다. 이 마인드셋의 전환이 없으면 월 100만 원은 신기루에 불과합니다.

1.2. 시간이라는 농사: 조급함을 버려라

블로그 수익화는 씨앗을 심고 열매를 맺기까지 기다리는 '농사'와 같습니다. 오늘 씨앗을 심었다고 내일 싹이 트지 않습니다. 물을 주고, 거름을 주고, 햇볕을 쬐어주며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 1~3개월: 땅을 고르고 씨앗을 심는 시기. 양질의 글을 꾸준히 발행하며 블로그의 기반을 다집니다. 검색엔진이 내 블로그를 인식하고 신뢰를 쌓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수익은 거의 없거나, 하루 몇백 원 수준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대부분 포기합니다.
  • 4~6개월: 싹이 트고 떡잎이 보이는 시기. 발행한 글들이 조금씩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기 시작하고, 유의미한 방문자 유입이 발생합니다. 하루 몇천 원의 수익이 발생하며 재미를 느끼기 시작합니다.
  • 7개월 이후: 줄기가 굵어지고 열매가 맺히는 시기. 기존에 발행한 글들이 꾸준히 트래픽을 가져다주는 '효자 포스팅'이 됩니다. 블로그 지수가 쌓여 새로 발행하는 글도 비교적 빠르게 상위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구간입니다.

월 100만 원이라는 목표는 최소 6개월에서 1년 이상을 바라보는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단기 성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묵묵히 '콘텐츠 농사'를 짓는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1.3. '나'를 버리고 '독자'를 얻어라: 콘텐츠의 주인은 누구인가?

취미 블로그는 '나'를 위한 글을 쓰지만, 수익형 블로그는 철저히 '독자'를 위한 글을 씁니다. 독자는 자신의 '문제'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합니다. 우리의 역할은 그들의 문제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고, 친절하게 해결해주는 해결사가 되는 것입니다.

글을 쓰기 전에 항상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 "독자는 어떤 키워드로 이 글을 찾아올까?"
  • "독자가 이 글을 통해 얻고 싶은 정보의 핵심은 무엇일까?"
  • "어떻게 설명해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 "본문 외에 추가로 궁금해할 만한 내용은 무엇일까?"

내 생각, 내 경험을 쓰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궁금해할 정보'를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재가공하여 제공하는 것. 이것이 수익형 콘텐츠의 핵심입니다.

1.4. 왜 티스토리인가? 네이버 블로그와의 결정적 차이

많은 분들이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사이에서 고민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구글 애드센스'를 통한 고수익을 목표로 한다면 티스토리가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구분 티스토리 (Tistory) 네이버 블로그 (Naver Blog)
주요 수익원 구글 애드센스 (높은 단가, 자유로운 광고 배치) 네이버 애드포스트 (낮은 단가, 제한적인 광고 배치)
자유도 HTML/CSS 수정 가능, 스킨 변경 자유, 플러그인 설치 제한적인 꾸미기 기능, HTML 수정 불가
검색 노출 구글, 다음에 최적화 (점유율 상승 중) 네이버에 절대적으로 유리
특징 전문적인 정보성 블로그에 적합, 수익화에 유리 일상, 소통, 커뮤니티 형성에 유리
Sheets로 내보내기

네이버 애드포스트는 클릭당 단가가 매우 낮아 월 100만 원을 달성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반면 구글 애드센스는 광고 단가가 높고, 내 의도대로 광고를 배치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바로 이 구글 애드센스를 설치하는 데 최적화된 플랫폼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전략은 '구글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블로그를 만들어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얻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Part 2. 준비 단계 : 승패를 가르는 첫 단추

튼튼한 집을 지으려면 설계도와 주춧돌이 중요하듯, 수익형 블로그도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합니다. 어떤 주제로 시작할지, 블로그는 어떻게 설정할지가 앞으로의 1년을 좌우합니다.

2.1. '황금알'을 낳는 주제(Niche) 선정 전략

가장 중요하고, 가장 어려운 단계입니다. 주제 선정에서 실패하면 아무리 열심히 글을 써도 돈이 되지 않습니다. 돈이 되는 주제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높은 광고 단가 (CPC: Cost Per Click): 광고주들이 많은 돈을 지불하는 분야여야 합니다. 광고주가 클릭당 1,000원을 지불하는 주제와 100원을 지불하는 주제는 같은 방문자 수라도 수익이 10배 차이 납니다. 일반적으로 금융, 보험, 대출, 법률, 건강, 부동산 등 전문 분야의 광고 단가가 높습니다.
  2. 충분한 검색 수요 (Search Volume):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주제여야 합니다. 아무리 광고 단가가 높아도 찾는 사람이 없으면 방문자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나만 아는 특별한 주제'는 피해야 합니다. 대중의 관심사를 따라가야 합니다.
  3. 적절한 경쟁 강도 (Competition): 대기업이나 전문가 집단이 이미 장악한 시장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있는, 즉 '해볼 만한' 경쟁 강도의 주제를 찾아야 합니다.

이 세 가지를 고려한 추천 주제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금융/정부지원금: 대출, 신용카드, 예적금, 보험, 주식, 그리고 근로장려금, 청년도약계좌, 각종 지자체 지원금 등은 정보의 '시의성'이 중요하고 단가가 매우 높은 최고의 주제입니다. 정책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꾸준히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 ② 건강: 다이어트, 영양제, 특정 질병(고혈압, 당뇨 등)의 증상 및 관리법 등은 남녀노소 모두의 관심사입니다. 정보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하며,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많은 공부가 필요합니다.
  • ③ IT/테크: 스마트폰, 노트북, 소프트웨어 사용법(포토샵, 엑셀 등), 각종 앱 추천 등은 꾸준한 수요가 있고, 신제품이 계속 출시되어 콘텐츠가 마르지 않는 분야입니다. 제품 리뷰와 연계하여 쿠팡 파트너스 수익을 내기에도 좋습니다.
  • ④ 자격증/교육: 특정 자격증(공인중개사, 전기기사 등)의 시험 정보, 공부 방법, 인강 추천 등은 명확한 목적을 가진 검색자들이 많아 전환율이 높습니다.
  • ⑤ 생활정보: 각종 할인 정보, 세금(연말정산 등), 자동차 관리, 청소 노하우 등 일상과 밀접한 정보들은 광범위한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Action Plan] 나만의 '킬러 주제'를 찾는 법

  1. 위 카테고리 중 내가 흥미를 느끼고, 비교적 잘 알고 있으며, 꾸준히 공부할 수 있는 분야 2~3개를 고릅니다. (흥미가 없으면 장기 운영이 불가능합니다.)
  2. 각 분야의 세부 키워드를 10개씩 나열해 봅니다. (예: 금융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신용카드 추천, 햇살론 자격조건 등)
  3. 키워드 분석 툴(블랙키위 등)을 이용해 각 키워드의 월간 검색량과 예상 수익을 확인하며 '돈의 냄새'를 맡아봅니다.
  4. 실제 구글에 해당 키워드를 검색해보고, 상위 10개 블로그의 퀄리티를 확인합니다. "내가 이들보다 더 자세하고, 더 친절하게 쓸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드는 분야를 최종 선택합니다.

2.2.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및 필수 초기 설정

주제를 정했다면 이제 집을 지을 차례입니다.

① 초대장 없이 가입하기: 예전에는 초대장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누구나 이메일 인증만으로 쉽게 티스토리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② 2차 도메인,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 티스토리를 개설하면 기본적으로 yourname.tistory.com 형태의 주소를 받습니다. 하지만 월 100만 원을 목표로 한다면, 반드시 yourname.com이나 yourname.co.kr 같은 개인 도메인을 구입하여 연결해야 합니다.

  • SEO (검색엔진최적화): 구글은 tistory.com의 하위 도메인보다 독립적인 개인 도메인을 더 신뢰하고 높은 점수를 줍니다. 장기적으로 검색 상위 노출에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 전문성 및 브랜딩: 독자들에게 전문적인 블로그라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 플랫폼 이전의 자유: 만약 티스토리 서비스에 문제가 생기거나 다른 플랫폼(워드프레스 등)으로 이전하고 싶을 때, 도메인만 그대로 가져가면 그동안 쌓아온 블로그 지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tistory.com에 종속되면 모든 것을 잃게 됩니다.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등에서 1년에 1~2만 원이면 구입할 수 있습니다. 커피 몇 잔 값으로 미래를 위한 최고의 투자를 하는 셈입니다.

③ 검색엔진이 좋아하는 스킨 선택 가이드: 티스토리 스킨(템플릿)은 블로그의 디자인이자 뼈대입니다. 스킨을 고를 때의 기준은 '예쁜 것'이 아니라 '빠르고 검색엔진 친화적인 것'이어야 합니다.

  • 추천 스킨: 북클럽(Book Club), 포스터(Poster) 등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기본 반응형 스킨은 속도도 빠르고 군더더기 없어 좋습니다.
  • 피해야 할 스킨: 사이드바가 2단으로 복잡하거나, 이미지 로딩이 많은 스킨, 반응형을 지원하지 않는 낡은 스킨은 피해야 합니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로딩 속도는 구글 랭킹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④ 필수 플러그인 셋팅: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 플러그인 메뉴에서 다음 플러그인은 반드시 활성화해야 합니다.

  • 구글 서치콘솔 / 네이버 애널리틱스 / 구글 애널리틱스: 블로그 통계 분석을 위한 필수 툴 연동 플러그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Part 5에서 다룹니다.)
  • 반응형 웹스킨 이미지 최적화: 모바일 화면에서 이미지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해 줍니다.
  • 포스트 메타데이터 표시: 검색엔진이 글의 주제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Part 3. 콘텐츠 생산 : '돈이 되는 글'은 따로 있다

이제 실질적인 '일'을 할 시간입니다. 돈이 되는 글, 즉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고 독자의 문제를 해결해주며 광고 클릭까지 유도하는 글은 어떻게 써야 할까요?

3.1. 황금 키워드 발굴: 모든 글의 시작점

앞서 마인드셋에서 강조했듯, 우리는 '독자가 검색하는 글'을 써야 합니다. 이때 독자가 검색창에 입력하는 단어나 문구가 바로 '키워드'입니다. 키워드 리서치 없는 글쓰기는 망망대해에 목적지 없이 배를 띄우는 것과 같습니다.

  • 키워드의 이해: 롱테일 키워드를 노려라
    • 숏테일 키워드 (Short-tail): '대출', '다이어트'처럼 한두 단어로 이루어진 대표 키워드. 검색량은 엄청나지만, 경쟁이 너무 치열해 개인이 상위 노출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 미들테일 키워드 (Middle-tail): '직장인 신용대출', '단기간 다이어트 방법'처럼 좀 더 구체적인 키워드.
    • 롱테일 키워드 (Long-tail): '무직자 비상금대출 가능한 곳', '30대 여성 직장인 다이어트 식단'처럼 3단어 이상으로 조합된 매우 구체적인 키워드. 검색량은 적지만, 경쟁이 약하고 구매나 행동 전환율이 매우 높습니다.

우리의 전략은 롱테일 키워드를 집중 공략하는 것입니다. 롱테일 키워드로 글을 100개, 200개 쌓다 보면, 이 글들이 모여 미들테일, 숏테일 키워드 경쟁에서도 힘을 발휘하게 됩니다.

  • 무료 키워드 분석 툴 활용법
    • 블랙키위(blackkiwi.net): 특정 키워드의 월간 검색량(PC/모바일), 콘텐츠 발행량, 연관 키워드, 성별/연령별 관심도 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최고의 툴입니다. 글을 쓰기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입니다.
    • 키워드마스터(whereispost.com/keyword): 키워드 검색량과 블로그 문서 수를 비교하여 '키워드 경쟁 강도'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 구글 자동완성 및 연관검색어: 구글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뜨는 추천 검색어와 검색 결과 하단의 연관검색어는 사람들이 실제로 많이 찾는 롱테일 키워드의 보고입니다.
  • '이기는' 키워드 선택법
    1. 내가 쓰려는 주제의 대표 키워드를 정한다. (예: 근로장려금)
    2. 블랙키위와 구글 연관검색어를 통해 롱테일 키워드를 20~30개 발굴한다. (예: 2025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자격조건,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방법 등)
    3. 발굴한 키워드 중 월간 검색량은 1,000 이상이면서, 블로그 총 발행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키워드를 우선순위로 선택한다. 이것이 '가성비 좋은 황금 키워드'입니다.

3.2. 검색엔진최적화(SEO) 글쓰기의 모든 것

황금 키워드를 찾았다면, 이제 그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글이 좋아하고 독자가 만족하는 글을 쓸 차례입니다.

  • 제목(Title) 작성 공식: 제목은 가장 중요합니다. 검색 결과 화면에서 독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유일한 관문이기 때문입니다.
    • 핵심 키워드를 가장 앞에 배치하라: (O)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5분 만에 확인하는 방법 / (X) 5분 만에 확인하는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 숫자를 활용하여 구체성을 더하라: ~하는 7가지 방법, ~을 위한 3가지 팁
    • 궁금증을 유발하는 단어를 사용하라: ~하는 비법, ~만 아는 꿀팁, ~후기
    • 문제 해결을 약속하라: ~ 완벽 정리, ~ A to Z
    • 제목의 길이는 30~40자 내외가 적당하다.
  • 본문 작성 구조: 서론-본론-결론의 황금 비율
    • 서론 (10%): 독자가 겪고 있는 문제를 언급하고, 이 글을 통해 그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음을 명확히 밝힙니다. 핵심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1~2회 포함합니다. 독자가 3초 안에 이탈하지 않도록 붙잡는 가장 중요한 구간입니다.
    • 본론 (80%): 소제목(H2, H3 태그)을 사용하여 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합니다. 독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짐없이, 깊이 있게 다룹니다.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경험이나 쉬운 비유를 섞어주면 좋습니다.
    • 결론 (10%): 본문의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독자가 추가적으로 취할 수 있는 행동(다른 관련 글 읽기 등)을 제안하며 마무리합니다.
  • 가독성을 높이는 비법
    • 짧은 문장: 한 문장은 2줄을 넘지 않도록 간결하게 씁니다.
    • 문단 나누기: 3~4문장마다 한 번씩 엔터를 쳐서 문단을 나눕니다. 빽빽한 글은 독자에게 피로감을 줍니다.
    • 소제목 활용: <h2>, <h3> 태그를 활용해 글의 구조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는 독자의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검색엔진이 글의 주제를 파악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글머리 기호/번호 매기기: 나열되는 정보는 리스트 형태로 정리하면 한눈에 파악하기 쉽습니다.
    • 이미지 활용: 적절한 이미지는 글의 이해를 돕고 지루함을 덜어줍니다.
  • 내부 링크와 외부 링크
    • 내부 링크: 글 본문에서 관련된 내 다른 글로 링크를 걸어주는 것입니다. 독자가 내 블로그에 더 오래 머물게 하여 체류 시간을 늘리고(SEO에 긍정적), 여러 페이지를 보게 만들어 광고 노출 기회를 늘립니다.
    • 외부 링크: 신뢰도 높은 외부 사이트(정부 공식 홈페이지, 공신력 있는 언론사 등)로 링크를 걸어주는 것은 내 정보의 출처를 밝혀 글의 신뢰도를 높여줍니다.
  • 이미지 최적화 (ALT 태그의 중요성) 블로그에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이미지마다 '대체 텍스트(ALT 태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여 적어주면, 구글 이미지 검색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고, 검색엔진이 글의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3. 저품질 블로그를 피하는 7가지 철칙

열심히 키운 블로그가 갑자기 검색에서 누락되는 '저품질'에 빠지면 모든 노력이 물거품이 됩니다. 다음 사항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1. 복사/붙여넣기 금지: 다른 블로그나 뉴스 기사를 그대로 베끼는 것은 최악의 행위입니다. 저품질의 가장 빠른 지름길입니다.
  2. 과도한 키워드 반복: 글을 부자연스럽게 만들 정도로 키워드를 남발하면 어뷰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3. 성인, 도박, 불법 관련 콘텐츠 작성 금지: 애드센스 정책 위반으로 계정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4. 실체 없는 정보, 허위 사실 유포 금지: 정보의 정확성은 블로그의 생명입니다.
  5. 자동 글쓰기 프로그램 사용 금지: 검색엔진은 기계가 쓴 글을 귀신같이 찾아냅니다.
  6. 의미 없는 글 대량 발행 금지: 양보다 질입니다. 500자짜리 글 10개보다 3000자짜리 양질의 글 1개가 훨씬 낫습니다.
  7. 지나치게 상업적인 링크 남발 금지: 쿠팡 파트너스 등 제휴 링크는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야 합니다.

3.4. 꾸준한 포스팅을 위한 시간 관리 및 마인드 컨트롤

월 100만 원이라는 목표는 최소 100개 이상의 양질의 포스팅이 쌓였을 때 가시권에 들어옵니다. 이를 위해서는 꾸준함이 생명입니다.

  • 1주일에 최소 2~3개 발행을 목표로 하세요. 매일 발행하면 좋지만, 퀄리티가 떨어진다면 오히려 독입니다. 자신의 스케줄에 맞춰 지속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글감 노트를 만드세요. 키워드 리서치를 통해 발굴한 글감들을 미리 목록으로 만들어두면, "오늘은 뭘 써야 하지?" 하는 고민 없이 바로 글쓰기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세요.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키워드를 리서치하고, 점심시간에 글의 개요를 짜는 등 시간을 쪼개어 활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Part 4. 수익화 전략 : 구슬을 꿰어 보배로 만들기

양질의 콘텐츠가 쌓이고 방문자가 유입되기 시작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돈을 벌 차례입니다.

4.1. 구글 애드센스: 수익의 핵심 엔진

티스토리 수익의 80~90%는 구글 애드센스에서 발생합니다.

  • '애드고시'라 불리는 승인 과정, 한 번에 통과하는 비법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하려면 먼저 구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이 까다로워 '애드고시(애드센스+고시)'라고 불립니다.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대부분 한 번에 통과할 수 있습니다.
    1. 최소 15~20개 이상의 양질의 포스팅: 각 글은 최소 1,500자 이상으로, 정보적 가치가 충분해야 합니다.
    2. 명확한 카테고리 분류: 주제가 중구난방이면 안 됩니다. 2~3개의 명확한 카테고리로 글을 정리하세요.
    3. 도입부, 문단, 마무리 등 글의 기본 구조 준수: 잘 정돈된 글은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4. 개인 도메인 사용: tistory.com 주소보다 승인에 유리합니다.
    5. 'About Me', 'Privacy Policy(개인정보처리방침)' 페이지 생성: 블로그의 신뢰도를 높여줍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은 인터넷에서 표준 양식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수익 극대화를 위한 광고 배치 전략 애드센스 승인 후에는 광고를 어디에 배치할지가 수익을 결정합니다.
    • 자동 광고: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구글이 알아서 최적의 위치에 광고를 노출해 줍니다. 초보자에게는 자동 광고를 기본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수동 광고: 특정 위치에 직접 광고 코드를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경험상 수익이 잘 나는 '명당' 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목 바로 아래
      • 본문 중간 (전체 글의 1/3, 2/3 지점)
      • 사이드바 상단
      • 글 하단 초반에는 자동 광고로 시작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클릭률이 높은 위치를 파악하여 수동 광고를 추가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반응형
    320x100
  • CPC, CTR, RPM의 이해: 내 블로그 수익 분석하기 애드센스 보고서에 나오는 이 3가지 용어는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 CPC (Cost Per Click): 광고 클릭 1회당 지급되는 비용. 높을수록 좋습니다. 블로그 주제에 따라 결정됩니다. (금융/대출 분야가 높음)
    • CTR (Click Through Rate): 페이지 조회수 대비 광고 클릭률. 100번 노출되었을 때 1번 클릭되면 CTR은 1%입니다. 높을수록 좋습니다. 광고 배치와 콘텐츠 퀄리티에 영향을 받습니다.
    • RPM (Revenue Per Mille): 1,000회 노출당 예상 수입. 블로그의 전반적인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PM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수익 계산 공식: 월 예상 수익 ≈ 일일 방문자 수 × 페이지뷰/방문자 × CTR × CPC × 30일

예를 들어, 일 방문자 3,000명, 방문자당 1.5 페이지뷰, CTR 1%, 평균 CPC가 $0.3인 블로그의 월 수익은 달러 (약 50~55만 원)가 됩니다.

월 100만 원(약 $750)을 달성하려면, CPC와 CTR을 높이거나, 방문자 수를 늘려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4.2. 쿠팡 파트너스: 또 다른 강력한 수익원

쿠팡 파트너스는 내 블로그 링크를 통해 누군가 쿠팡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구매 금액의 3%를 수수료로 받는 제휴 마케팅입니다.

  • 애드센스와의 시너지 효과: 애드센스는 광고를 '클릭'해야 수익이 발생하지만, 쿠팡 파트너스는 '구매'가 일어나야 합니다. 두 가지를 함께 운영하면 수익원을 다각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IT 기기 리뷰, 생활용품 추천, 육아용품 후기 등의 콘텐츠와 궁합이 매우 좋습니다.
  • 독자가 거부감 없이 클릭하게 만드는 콘텐츠 작성법:
    • 직접 사용해본 후기: "제가 직접 써보니 이런 점이 좋았고, 이런 점은 아쉬웠습니다."와 같은 진솔한 후기는 신뢰도를 높여 구매 전환율을 극대화합니다.
    • 정보성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녹이기: '초보 캠핑 준비물 A to Z'라는 글을 쓰면서 필요한 장비 목록을 소개하고, 각 제품에 쿠팡 링크를 거는 방식입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라는 문구를 반드시 기재해야 합니다. 공정위 규정상 필수입니다.

4.3. 기타 수익화 모델

블로그가 성장하면 추가적인 수익 기회가 생깁니다.

  • 원고료/스폰서 포스팅: 특정 기업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소정의 원고료를 받고 글을 작성해주는 방식입니다.
  • 제휴 마케팅 (CPA): 특정 서비스(예: 보험 상담, 대출 신청, 회원 가입)가 내 링크를 통해 완료될 때마다 건당 수수료를 받는 방식입니다. 애드센스보다 단가가 훨씬 높지만, 전환 난이도가 높습니다.

Part 5. 분석 및 성장 : 데이터를 보고 방향을 정하라

열심히 글을 쓰고 수익 모델을 장착했다면, 이제부터는 '데이터'를 보며 블로그를 운영해야 합니다. 감이 아닌 숫자에 기반한 의사결정은 블로그 성장을 10배 빠르게 만듭니다.

5.1.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 콘솔은 구글 검색엔진에서 내 블로그가 어떻게 보이고 있는지 알려주는 '건강 검진표'입니다.

  • 등록 및 사이트맵, RSS 제출: 블로그 개설 후 가장 먼저 할 일입니다. 서치 콘솔에 내 블로그 주소(개인 도메인)를 등록하고,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이용해 생성된 사이트맵(sitemap.xml)과 RSS 주소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구글 로봇에게 "우리 가게 개업했으니 자주 와서 물건(글)을 가져가세요"라고 알리는 행위입니다.
  • '실적' 리포트 분석: 기회 키워드 발굴하기 가장 중요한 메뉴입니다. 어떤 키워드로 사람들이 내 블로그에 들어오는지(클릭수), 내 글이 검색 결과에 몇 번 노출되었는지(노출수), 노출 대비 클릭률(CTR), 평균 게재 순위를 보여줍니다.
    • 주목할 데이터: '클릭수'는 낮지만 '노출수'는 높은 키워드. 이는 사람들이 이 키워드를 많이 검색하고 내 글이 노출되고는 있지만, 순위가 낮거나 제목이 매력적이지 않아 클릭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 키워드로 기존 글을 보강하거나, 새로운 글을 쓰면 바로 트래픽을 가져올 수 있는 '기회 키워드'입니다.
  • '색인 생성 범위' 확인 및 오류 해결: 내 블로그의 글들이 구글에 잘 등록(색인)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곳입니다. '오류'가 있다면 어떤 문제인지 알려주므로, 가이드에 따라 해결해야 합니다.

5.2.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서치 콘솔이 '블로그에 들어오기 전'의 데이터를 보여준다면, 애널리틱스는 '블로그에 들어온 후' 방문자의 행동을 분석합니다.

  • GA4 연동 및 기본 세팅: 최신 버전인 GA4(Google Analytics 4)를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통해 연동합니다.
  • 주요 지표 이해하기:
    • 사용자: 특정 기간 동안 내 블로그를 방문한 순수한 방문자 수.
    • 세션: 방문자가 내 블로그에 들어와서 활동하다가 나갈 때까지의 방문 단위.
    • 평균 참여 시간: 방문자가 내 블로그 페이지를 활발하게 보고 있던 시간. 길수록 좋은 콘텐츠라는 신호입니다.
    • 이탈률 (Bounce Rate): 한 페이지만 보고 바로 나가버린 방문자의 비율. 낮을수록 좋습니다. (GA4에서는 '참여율'의 반대 개념으로 해석)
  • 인기 페이지 분석을 통한 콘텐츠 전략 수정: '보고서 > 참여도 > 페이지 및 화면' 메뉴에 들어가면 어떤 글이 가장 인기가 많은지 알 수 있습니다.
    • 조회수가 높은 페이지: 독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주제입니다. 이와 유사한 주제나 더 심화된 내용의 후속 글을 발행하면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
    • 평균 참여 시간이 긴 페이지: 독자들이 꼼꼼히 읽는, 잘 쓴 글이라는 증거입니다. 이 글의 형식과 구조를 분석하여 다른 글을 쓸 때도 적용해봅니다.

5.3. 월 100만 원 달성을 위한 현실적인 로드맵

이 모든 전략을 실행했을 때, 수익은 어떤 타임라인으로 성장할까요? (개인차는 있지만 일반적인 과정입니다.)

  • 1~3개월 차: 기반 다지기 (월 수익 0 ~ 5만 원)
    • 목표: 애드센스 승인, 양질의 포스팅 30개 이상 누적, 분석 툴 세팅 완료.
    • 특징: 방문자가 거의 없고 수익도 미미합니다. 가장 지루하고 힘든 시기. 여기서 포기하지 않는 것이 관건. '나는 지금 씨앗을 심고 있다'고 되뇌어야 합니다.
  • 4~6개월 차: 유의미한 데이터 발생 (월 수익 5 ~ 20만 원)
    • 목표: 서치 콘솔과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보며 '되는 키워드'와 '인기 있는 주제'를 파악하고 콘텐츠 전략 수정.
    • 특징: 일 방문자 500~1,000명을 넘나들기 시작. 하루 커피값 정도의 수익이 발생하며 재미를 느낍니다. 기존에 썼던 글들이 조금씩 상위 노출되기 시작합니다.
  • 7~12개월 차: 수익 성장 가속화 (월 수익 20 ~ 70만 원)
    • 목표: 수익이 잘 나는 주제에 집중하여 포스팅. 내부 링크 작업을 통해 블로그 전체의 체류 시간을 늘리기.
    • 특징: 누적된 포스팅(70~100개 이상)의 힘으로 블로그 지수가 상승. 새로 쓴 글도 비교적 빠르게 상위 노출됩니다. 일 방문자 2,000~5,000명. 월급 외에 쏠쏠한 부수입이 생기는 단계.
  • 1년 이후: 목표 달성 및 유지 (월 수익 70 ~ 100만 원+)
    • 목표: 꾸준한 포스팅으로 순위 유지 및 신규 트래픽 창출. 오래된 정보는 업데이트하여 글의 퀄리티를 유지.
    • 특징: 일 방문자 5,000명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 매일 2~3만 원, 월 100만 원 전후의 수익이 파이프라인처럼 들어옵니다. '효자 포스팅' 몇 개가 전체 수익의 상당 부분을 책임지게 됩니다.

반응형
320x100

Part 6. 심화 전략 및 Q&A

기본기를 다졌다면, 이제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한 전략과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다뤄보겠습니다.

6.1. 방문자 수를 폭발시키는 '이슈성 포스팅' 전략과 함정

  • 전략: 새로 개봉한 영화, 드라마, 화제의 인물, 새로운 정부 정책 발표 등 단기간에 검색량이 폭발하는 키워드를 노려 글을 쓰는 전략입니다. 타이밍만 잘 맞추면 하루 만에 수만 명의 방문자를 끌어모을 수 있습니다.
  • 함정:
    • 수명이 짧다: 이슈가 사라지면 방문자도 함께 사라집니다. 꾸준한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경쟁이 치열하다: 나뿐만 아니라 모든 블로거와 언론사가 달려들기 때문에 상위 노출이 쉽지 않습니다.
    • 저품질 위험: 자극적인 제목이나 내용, 사실 확인이 안 된 정보로 트래픽만 노리다가는 블로그 전체의 신뢰도를 잃고 저품질에 빠질 수 있습니다.
  • 결론: 이슈성 포스팅은 전체 콘텐츠의 10~20% 비중으로, 양념처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력은 어디까지나 꾸준히 검색되는 '정보성(에버그린) 콘텐츠'여야 합니다.

6.2. 블로그 지수(Domain Authority)를 키우는 장기적 관점

블로그 지수는 검색엔진이 내 블로그를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지수가 높을수록 글이 상위 노출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블로그 지수를 키우는 것은 단기간에 되지 않으며, 다음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 운영 기간: 오래된 블로그일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 콘텐츠의 양과 질: 꾸준히 발행된 양질의 콘텐츠는 지수의 핵심입니다.
  • 독자의 체류 시간: 독자가 오래 머무는 블로그는 좋은 블로그입니다.
  • 외부 링크(Backlinks): 다른 신뢰도 높은 사이트에서 내 블로그를 링크해주는 것입니다. 가장 강력한 지수 상승 요인이지만, 인위적으로 만들기는 어렵습니다. 최고의 전략은 다른 사람들이 '공유하고 싶을 만한' 독보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것입니다.

6.3.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하루에 몇 개나 포스팅해야 하나요? A. '몇 개'보다 '어떻게'가 중요합니다. 매일 1개씩 대충 쓰는 것보다, 3일에 1개라도 키워드 리서치부터 SEO 글쓰기 원칙까지 모두 지킨 3000자 이상의 양질의 글을 쓰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초반에는 주 2~3개를 목표로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 Q. 글자 수는 얼마나 써야 하나요? A. 정답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구글은 정보의 '깊이'를 중요하게 봅니다. 특정 주제에 대해 A부터 Z까지 다루는 글을 선호합니다. 경쟁 블로그들이 2000자로 쓴 주제라면, 나는 사진과 도표를 곁들여 3000자 이상으로 더 자세하게 쓴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세요. 최소 1,500~2,000자 이상을 권장합니다.
  • Q. 다른 사람 글을 참고해도 되나요? A. 물론입니다. 참고(Reference)는 필수입니다. 내가 쓰려는 키워드로 상위 1~5위 글들을 모두 읽어보고, 그들이 어떤 내용을 어떤 구조로 다뤘는지 분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의 장점을 흡수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그들보다 더 나은 글'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하지만 내용을 그대로 복사/붙여넣기(Copy & Paste)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반드시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고 정보를 추가하여 완전히 새로운 콘텐츠로 만들어야 합니다.
  • Q. 갑자기 방문자 수가 떨어졌어요 (저품질?) A.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시즌성 이슈: 특정 시기에만 검색되는 키워드(예: 연말정산)였다면 시기가 지나 트래픽이 감소하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2. 구글 알고리즘 업데이트: 구글은 수시로 랭킹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합니다. 이로 인해 순위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보통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기도 합니다.
    3. 저품질: 정말 저품질에 빠졌다면, 최근에 작성한 글 중에 정책 위반 소지가 있는 글은 없는지, 과도한 광고나 링크를 사용하지 않았는지 점검하고 문제가 되는 글을 수정하거나 삭제해야 합니다. 서치 콘솔에서 수동 조치 내역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하지만 섣불리 저품질이라 단정하기보다는, 꾸준히 양질의 글을 발행하며 기다려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마치며 : 당신도 할 수 있다, 이제 시작할 시간

5만 자가 넘는 긴 글을 여기까지 읽으셨다는 것만으로도, 당신은 이미 상위 10%의 자질을 갖춘 것입니다.

티스토리로 월 100만 원을 버는 길은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그 길은 '쉽고 빠른 길'이 아닙니다. 올바른 전략을 가지고, 꾸준히 실행하며, 데이터를 통해 방향을 수정해나가는 '성실함과 인내의 길'입니다.

이 글은 여러분을 위한 상세한 지도입니다. 하지만 지도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직접 신발 끈을 묶고, 문을 열고, 첫걸음을 내디뎌야 합니다.

오늘 당장, 당신의 전문 분야, 당신의 '돈이 되는 주제'를 고민해보십시오. 그리고 첫 번째 키워드를 찾아 서툴더라도 첫 글을 작성해보십시오. 그 첫걸음이 쌓이고 쌓여, 1년 뒤 당신의 통장에는 분명 의미 있는 숫자가 찍혀 있을 것입니다.

월 100만 원이라는 현금 파이프라인은 당신의 삶에 엄청난 자유와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것입니다. 더 이상 망설이지 마십시오.

지금 바로, 시작하십시오.

여러분의 성공적인 블로그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