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정책 및 복지/관련 용어 개념 및 지식13 수급자 선정기준 알아보기 ■ 기초수급자 선정기준 기초수급자 선정기준은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또는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자로서, 소득인정액이 급여종류별 선정기준 이하인 자입니다. 단, 주거급여, 교육급여는 부양의무자 부양능력 판정기준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부양의무자에대한 기준은 다음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책 및 복지/관련 용어 개념 및 지식] - 부양의무자 기준 알아보기 부양의무자 기준 알아보기 ■ 부양의무자란? 부양의무자는 말그대로 부양할 의무가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그러나,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 2조 제 5호에 따르면 부양의무자는 수급권자를 부양할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 수.. dglim0710.tistory.com ■ 2020년 기준중위소득 및 가구규모별·급여종류별 수.. 2020. 3. 25. 부양의무자 기준 알아보기 ■ 부양의무자란? 부양의무자는 말그대로 부양할 의무가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그러나,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 2조 제 5호에 따르면 부양의무자는 수급권자를 부양할 책임이 있는 사람으로서 수급권자의 1촌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사망한 1촌의 직계혈족의 배우자는 제외)를 말합니다. 부양의무자의 유무는 생계급여, 교육급여, 의료급여, 해산급여 등을 지급받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부양의무자의 정의와 기준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책 및 복지/관련 용어 개념 및 지식] - 중위소득 개념 알아보기 (2019년 중위소득/ 2020년 중위소득 / 중위소득 %) 중위소득 개념 알아보기 (2019년 중위소득/ 2020년 중위소득 / 중위소득 %) ■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 중 소득을 기준으로 50%에 해당하는 .. 2020. 3. 24. 중위소득에 포함되는 소득 알아보기 (중위소득 계산/소득인정액 계산) ■ 기준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봤을 때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중위소득 50%미만을 빈곤층, 50~150% 중산층, 150%이상을 상류층으로 봅니다. 또한, 중위소득은 나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와 정책의 선정 대상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자신의 중위소득을 알고있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중위소득을 알려면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계산해야 하는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책 및 복지/관련 용어 개념 및 지식] - 중위소득 개념 알아보기 (2019년 중위소득/ 2020년 중위소득 / 중위소득 %) 중위소득 개념 알아보기 (2019년 중위소득/ 2020년 중위소득 / 중위소득 %) ■ 중위소득이란?.. 2020. 3. 21. 중위소득 개념 알아보기 (2019년 중위소득/ 2020년 중위소득 / 중위소득 %) ■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 중 소득을 기준으로 50%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가구에 포함되는 가구원 수에따라서 중위소득은 다르게 측정됩니다. 또한, 중위소득계층이란 중위소득의 50% 이상 150% 미만에 해당되는 가구를 말합니다. 중위소득은 다양한 제도에서 기준이 되므로 항상 알아보는게 좋겠네요. 그럼 2019년, 2020년 중위소득을 알아볼까요?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2019년 (원/월) 170만7008 290만6528 376만32 461만3536 546만7040 632만544 2020년 (원/월) 175만7194 299만1980 387만0577 474만9174 562만7771 650만6368 그럼, 중위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정책 및 복지/관련 .. 2020. 2. 29.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